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하는 만 34세 미만의 청년층에게 최대 1,935만 원까지 지원한다는 정부의 ‘청년 일자리 대책’에 대한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리며 정치권에서는 추가경정 예산 통과를 둘러싸고 벌써부터 상반된 입장을 내놓고 있다. 그동안 청년 실업률은 전체 실업률을 훨씬 상회하고 있으며 여러 매체에서 심각하게 다루고 있다. 더구나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인 ‘에코 세대’가 본격적으로 취업시장에 뛰어들게 될 앞으로 4년간은 가뜩이나 어려운 취업난이 더욱 어려워 ‘일자리 보릿고개’가 예상되기에 정부에서도 나름대로 다양한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대책의 효과에 대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해당 되는 청년들의 반응이 마냥 호의적이지는 않다는 점이다.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꺼리는 이유가 반드시 금전적인 문제만은 아니다. 오히려 복지와 향후 발전 가능성, 업무 안전성, 직장 문화 등의 요소를 그에 못지 않게 중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요소들은 단기간 내에 해결될 수 없을뿐더러 자금 여유가 넉넉지 않은 중소기업이 감당하기에는 벅차기에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눈높이를 낮추면 일자리야 얼마든지 있다는 기성세대의 말은 청년세대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삶의 질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취업률 제고에만 초점을 맞춘 텅 빈 메아리에 불과하다.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꺼리는 원인을 개선하기 위한 보다 더 근본적인 대책을 여전히 마련하지 못한다는 점은 향후 우리 사회가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다. 단기적인 경제적 지원으로는 노동시장 환경 개선이나 산업경쟁력 강화 등 청년세대의 삶의 질을 향상 하기 어렵다. 우리보다 앞서 이런 문제를 겪었던 나라들의 사례를 좀 더 연구하고 우리 현실에 맞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일 것이다. 눈앞의 어려움을 피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어려움의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유책이다.

저작권자 © 숭대시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